통일부는 4일 개정된 '통일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가 공포·시행됨에 따라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개편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 정부 시절 폐지됐던 남북회담본부가 2년 만에 부활했으며, 남북 교류·협력 관련 기능이 대폭 강화됐다.
반면 북한 인권 비판에 초점을 맞췄던 인권인도실은 폐지되어 사회문화협력국으로 재편되는 등 대북 정책 방향의 변화가 감지된다.
◆ 윤석열 정부 시절 폐지된 남북회담본부 부활, 교류·협력 기능 강화
이번 통일부 조직개편은 남북관계와 대북정책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남북회담 및 연락을 전담하는 남북회담본부가 2년 만에 되살아났고, 남북 교류와 협력을 담당하는 실장급 조직인 평화교류실 또한 복원됐다.
특히 개성공단 관련 업무를 담당하던 평화협력지구추진단도 복원되어 평화경제특구와 평화협력지구 추진 업무를 새롭게 맡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대북 대화 및 교류 활성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가동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 '인권' 명칭 조직 축소…'사회적 대화' 위한 국장급 조직 신설
이와 동시에 통일부 조직 내 '인권' 명칭을 사용하는 조직은 대폭 축소되었다.
북한 인권 문제를 주로 다뤘던 인권인도실은 폐지되어 사회문화협력국으로 재편됐고, 실·국·과 단위 중에는 사회문화협력국 내 남북인권협력과만 '인권' 명칭을 유지하게 됐다.
또한 장관 직속으로 운영되던 납북자대책팀도 폐지되어 사회문화협력국 내 이산가족납북자과로 통합됐다.
대신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대북·통일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사회적 대화'를 담당할 국장급 조직인 한반도평화경청단이 장관 직속으로 신설되어 소통 기능이 강화됐다.
이와 함께 기존 국립통일교육원은 평화·통일교육을 평화·통일·민주시민교육으로 확장하는 정책에 맞춰 국립평화통일민주교육원으로 개칭됐다.
◆ 통일부 정원 6백명으로 증원…윤석열 정부 시절 축소 인원 80% 회복
이번 조직개편으로 통일부의 정원은 기존 5백33명에서 6백명으로 증원됐다.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 정부 시절 축소됐던 인원 81명의 약 80%가량이 회복된 규모이다.
고위공무원 직위는 18개(가급 4개)에서 20개(가급 5개)로 늘었으며, 본부와 소속기관의 과·팀도 52개에서 58개로 확대됐다.
통일부는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대북 정책 추진에 필요한 인적·물적 기반을 강화하고, 변화하는 한반도 정세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