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7년 북한으로 보내는 수재민 지원 물자를 싣는 적십자 봉사자들.(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는 25일 민간단체의 대북 접촉을 적극 허용하며 남북 소통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국내 기간 뉴스 통신사인 연합뉴스에 “민간 차원의 대북 소통 채널 복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접촉 신고를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통일부는 인도적 지원 목적의 북한 주민 접촉 신고 2건을 수리했다. 이는 작년 8월 북한 수해 후 예외적 승인 이후 처음이다.

통일부는 “소통채널 복구와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의했다”며 추가 접촉 신고도 수리했다고 밝혔다.

임종석 전 문재인 대통령비서실장이 이사장으로 복귀한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경문협)은 대선 이튿날인 지난 4일 문화교류 접촉 신고서를 제출, 지난 24일 승인을 받았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하반기부터 ‘북한 도발과 남북관계 악화’를 이유로 민간 접촉을 사실상 차단했다. 그러나 이재명 정부는 남북관계 복원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아 방침을 전환했다.

민간단체들은 대통령 취임 직후 접촉 신고서를 발 빠르게 제출했다.

경문협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에서 대화채널이 단절됐으나 이제 복원되고 있다”며 “정부의 재량권 남용을 막기 위해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