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칼럼
이춘근 영상 칼럼
박지현 칼럼
해외 석학 칼럼
김태산 칼럼
시민기고·칼럼
정치·사회
English
경제·산업·과학
국제
북한
English
기획·연재·기고
연예·문화·스포츠
이애란TV & 프리덤조선TV
남북자료실
칼럼
이춘근 영상 칼럼
박지현 칼럼
해외 석학 칼럼
김태산 칼럼
시민기고·칼럼
정치·사회
English
경제·산업·과학
국제
북한
English
기획·연재·기고
연예·문화·스포츠
이애란TV & 프리덤조선TV
남북자료실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칼럼
정치·사회
경제·산업·과학
국제
북한
기획·연재·기고
연예·문화·스포츠
이애란TV & 프리덤조선TV
남북자료실
신문사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이유준' 작성자 검색 결과
전체
다음
이전
칼럼
[기획 연재]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보는 문학의 힘 2 “땅에 떨어진 노벨상 권위 논란, 그러나 위대한 문학은 북한해방을 앞당길 것”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대통령으로 꼽히는 링컨 대통령은 역사를 변화시키는 문학의 중요성을 거론한 바 있다. 링컨은 흑인 노예 해방을 이끈 남북 전쟁 승리 후, 미국 사실주의 작가이자 노예제 반대론자 해리엇 비처 스토우 여사를 만났다.링컨은 1852년에 스토우 여사가 쓴 을 거론하며 '우리를 승리로 이끌게 하신 분이 바로
이유준
2024.10.16 11:48
English
(영문판) Han Kang's controversial Nobel prize win causes outrage in South Korean conservatives
"This year's Nobel Literature Prize-winning work (The Vegetarian, by Han Kang) is filled with disgusting pornography and fabricated history.", says many South Korean conservatives
이유준
2024.10.14 17:33
칼럼
[기획 연재] 한국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보는 문학의 힘 1 “왜 북한판 <달이 지다>와 한국의 솔제니친이 필요한가?”
한국 소설가 한강이 202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기사가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 노벨상의 역사와 세계적 상징성을 고려하면 한국인의 수상은 우선 축하할 일이다. 이 소식을 계기로 최근 데이비드 맥스웰 아시아 태평양 전략센터 연구원이 UPI에 기고한 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맥스웰은 위 기고에서 "우리가 역사를
이유준
2024.10.11 14:53
1
내용
내용